기획에 ending은 없다

0에서 무한을 만들어내는 maker, 애용 입니다.

분류 전체보기 27

서비스 기획 산출물 3탄. 상세 기획서에 대하여(feat. 스토리보드)

서비스 기획 산출물 앞 전 시리즈에서는, 서비스를 만드는 뼈대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 왔다. 기획을 시작할 당시 본인이 속해 있는 서비스나 제품에 대해 파악과 분석 그리고 뼈대에 대한 이해가 완료 되면, 그에 대한 개선이나 신규 서비 스기획을 실시하게 된다. 보통 상세 기획 전 단계의 과정을 보자면, 자사 서비스 분석에서 IA로 구조를 파악하고 원인 파악 과정을 통해 신규 OR 개선 기획안 구성하면서 와이어프레임을 통한 전체적인 기획안 작성하게 된다. 그러한 전체적인 기획을 완료가 된다면, 이것이 실효성이 있는지는 파악하고 실시하기 위한 회의를 통한 기획 검토 거치게 된다. 회의에서 기획의 구체성이 확정이 난다면, 해당 기획에 따른 상세 기획을 실시하게 된다. 이것이 전부가 아니지만, 보통 상세 기획 전에..

킥고잉_Case study

다들 잘 지내셨나요? 오래간만에 연휴를 즐기러 오느라 글이 늦은 감이 있었습니다 ㅎㅎ 이번 케이스 스터디는 우리 실생활에 많이 잡혀 가지고 있는 공유 킥보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실제로 이용 후기 와 더불어 해당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이루어보자 했습니다. 우리나라 공유 킥보드 현황 따릉이를 첫 사업의 성공으로 그 발판을 딛고 공유 키보드 사업이 흥행하면서, 그에 대한 서비스가 증가하였다. 그에 따른 공유 키보드에 관한 실태조사와 사고들을 조사하는 결과, 사고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가장 많은 사고 중 차량과 충돌 하는것이 30% 이거 사람과 충돌하는 것이 20% 가 차지하면서 킥보드 이용 시 50%의 인재로 발생하여 사회적인 교통 규제도 받고 있는 교통수단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그..

서비스 기획 산출물 2탄. Wireframe에 대하여

들어가기 전, 이전 글에서는 이전 시간에는 서비스 기획 산출물 1탄에서 다루었던 내용은 IA이다. IA를 간략하게 이야기하자면, 서비스 구조의 뼈대 가이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들 말하는 wire frame 이란 무엇인가? Wireframe 와이어프레임 전체적인 윤곽을 그려내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기획을 하려면 꼭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앞서 말한 AI 같은 역할이다. 서비스의 윤곽이라는 말씀! 웹 페이지를 2차원으로 보여주면서, 페이지의 구조, 레이아웃, 플로우, 기능, 의도된 동작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어렵다면 다음 내용을 참고해 보자. 예시를 들어보겠다. 다음 서비스는 동물병원 검색 앱을 착안해 와이어 프레임을 만들어봤다. 멍멍 냥냥 아프지마 앱 서비..

취준_MY 인사이트에 대해서(feat. 마음가짐)

흔히 취준을 하다 보면, 한 구역만 바라보거나 자격증에 대해 뭘 준비해야 하나 고민하고 고민하게 된다. 또 신호등을 바라보는 사람처럼 무조건 빨리 가야 한다는 조급한 마음에서 신호등 색깔에만 신경 쓰게 되어 방향성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과연 내가 취업 시장에서 살아남는 인재인가 아님 영양가 없는 취준생인가에 대한 되물음에 질문을 끊임없이 하게 된다. 해당 직무가 맞는 지도 모르겠고.. 이걸 잘할 수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다들 잘 될거야, 넌 최선을 다해서 괜찮아'라는 위로의 말로 다독여 준다. 하지만, 그런 마음이 스스로에 대한 굳건한 마음은 다질 수 없게 된다. 나는 이러한 마음 단단하고 스스로 찾기 위해 찾은 방법이 있다. 내 안에 인사이트가 존재한다 폭넓은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서비스 기획 산출물 1탄. IA에 대하여 (feat.지그재그)

자자, 앞서 서비스 기획의 역량은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서비스 기획에서도 산출물이 나오기 마련이다. 프로젝트의 A~Z까지의 전 과정을 리딩 하는 사람으로서 산출물 관리 또한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그중에서 신입들에게 가장 먼저 하는 과정인 IA :Information Architecture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 되어보자. Information Architecture 주로 서비스 전체 아우트라인을 조망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구조도 전체적인 앱/웹 서비스의 윤곽을 모르게 되면, 서비스의 방향성, 그 안에 들어있는 세세한 구역들에 대한 개선의 방향성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정보구조도는 꼭 필요한 산출물이다. 이게 무엇인가? 정말 많은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다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