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에 ending은 없다

0에서 무한을 만들어내는 maker, 애용 입니다.

나의기획일지 17

기획자들이 알아야할 UI 기본 용어

💡웹기획의 인터페이스의 요소가 늘어나면서, UI적인 요소를 인지하지 못한다면, 현업에서 디자이너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울 수 있다!! 꼭 알아야 할 UI 용어를 check!!1.와이어프레임 (Wireframe) 집을 만들때는 설계도가 필요하지 않은가? 와이어프레임은 구조를 짜는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빨리될것이다. 와잉어프레임이란 웹 페이지나 앱의 기본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설계도UI 요소의 배치를 간단히 시각화할 때 사용하며, 기능과 사용자 흐름을 정의할 때 유용하는 점 2.프로토타입 (Prototype)최종 제품처럼 작동하지만, 기능이 제한된 인터랙티브한 모형.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거나 이해 관계자에게 설계를 보여줄 때 사용하며 보통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 데모및 시연을 위해 프로토타입을 설계한..

한국핀테크지원센터 | 핀테크 프로덕트 오너 프로젝트 모듈 2차 | 인사이트 대시보드

오늘도 주말에 출근~ 인사이트를 내기 위해서 오늘도 정진한다. 주말에 사실 쉬고 싶을 법하고커리어 케어를 오늘은 쉬고 싶지 않을까 하지만, 그래도 해야 하지 라는 말을 난 참 좋아한다. 결국은 나에게 남는 모든 경험이지 않을까?오늘은 이전에 배웠던 gpt를 내용을 포함하여 주식 데이터 분석 를 통해 하나의 대시보드를 만드는 과정을 거쳤다2일 차 프로젝트 대시보드를 구현하다 대시보드란?특정 목표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관련된 핵심 성과 지표(KPI)를지능적으로 볼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결론적으로 성과를 한눈에 보고 분석하기에 용이한 보고서 형식을 GPT로 한눈에 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건 기획자인데거기에서 어떤 인사이트는 볼 것인가에 대한 것은 매우 중요한 ..

한국핀테크지원센터 | 핀테크 프로덕트 오너 프로젝트 모듈 1일차 (feat.PO의 역량 데이터분석)

핀테크 프로덕트 오너 지원 계기 기획자라는 직무를 가지게 되면서, 근거 있는 인사이트를 내야 하는 지점 앞에 데이터를 분석할 줄 알고 인사이트를 낼 수 있으면 더 매력적인 기획자가 되지 않을까? 하는 시발점에서 해당 강의를 들었다. One Day FinTech 실습 프로젝트 과정한국핀테크지원센터에서 주최하는 프로젝트 과정은 수강료 전액 지원에 토요일만 나와도 점심식사도 주고 총 6 모듈로 2가지 모듈만 수료해도 마이크로디그리는 준다. [과정안내]ㅇ (모듈1) 9.21.(토) 09:30~17:30 : (이수 분야 - 금융플랫폼 · 금융데이터) 금융 데이터 분석 과정 ㅇ (모듈2) 9.28.(토) 09:30~17:30 : (이수 분야 - 금융플랫폼 · 금융데이터) 금융 데이터 웹 대시보드 구현 과정 ㅇ (모..

나의기획일지 2024.09.23

제로베이스 PM스쿨 후기 2달차 포토폴리오반 심화 입성

앞서 제로 베이스에 대한 한 달 후기를 전했다. 매주 매주가 사실은 인사이트와 방향과 공부에 몰두하다 보니, 블로그에 신경을 못쓴 탓이 크다 ㅠㅠ 하지만,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어떻게 해야 서비스 기획자 또는 PM 이 될 수 있는지 수많은 고민을 하고 주저하는 분들에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의미에서 이번 제로 베이스 스쿨에 대한 심화 과정 후기를 다루어보겠다. 제로 베이스 과정을 모르는 분들에게 간략하게 시스템에 대해 요약하자면, PM 스쿨 공부 과정 이번 글에서는 현재까지의 과정 1 step과 2 step에 대한 후기이다. 아직은 포폴 과정 진행 중이라서 전부를 말하지 못해도 2/3 과정을 수강했기에 후기를 남겨본다 1 step 강의 과정 1. 강의 과정 속 나의 느낀 점 강의 과정을..

플랜핏_Case Study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항상 다짐을 하지만, 마음처럼 쉽지 않은 글쓰기의 길 항상 산출물을 내야 하는 직무라 그런지 어떤 트렌드가 세상을 이끄나 라는 질문을 많이 던지네요 ㅎㅎ 확실하게 드는 생각은 2022년의 트렌드는 아마 오운완! 오늘도 운동 완료라는 키워드 즉!!!!!!! 헬스나 운동에 관한 관심이 많아졌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운동 관련된 앱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운동 트렌드에 대하여 현재 운동이나 헬스 케어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PT(퍼스널 트레이닝)에 대해 많은 가격 다양성과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플랜 핏의 비즈니스 모델과 방향성을 보면서 현재 헬스 산업의 트렌드 이해를 위해 CASE를 진행해본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