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에 ending은 없다

0에서 무한을 만들어내는 maker, 애용 입니다.

나의기획일지/서비스기획 8

기획자들이 알아야할 UI 기본 용어

💡웹기획의 인터페이스의 요소가 늘어나면서, UI적인 요소를 인지하지 못한다면, 현업에서 디자이너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울 수 있다!! 꼭 알아야 할 UI 용어를 check!!1.와이어프레임 (Wireframe) 집을 만들때는 설계도가 필요하지 않은가? 와이어프레임은 구조를 짜는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빨리될것이다. 와잉어프레임이란 웹 페이지나 앱의 기본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설계도UI 요소의 배치를 간단히 시각화할 때 사용하며, 기능과 사용자 흐름을 정의할 때 유용하는 점 2.프로토타입 (Prototype)최종 제품처럼 작동하지만, 기능이 제한된 인터랙티브한 모형.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거나 이해 관계자에게 설계를 보여줄 때 사용하며 보통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 데모및 시연을 위해 프로토타입을 설계한..

서비스 기획 산출물 3탄. 상세 기획서에 대하여(feat. 스토리보드)

서비스 기획 산출물 앞 전 시리즈에서는, 서비스를 만드는 뼈대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 왔다. 기획을 시작할 당시 본인이 속해 있는 서비스나 제품에 대해 파악과 분석 그리고 뼈대에 대한 이해가 완료 되면, 그에 대한 개선이나 신규 서비 스기획을 실시하게 된다. 보통 상세 기획 전 단계의 과정을 보자면, 자사 서비스 분석에서 IA로 구조를 파악하고 원인 파악 과정을 통해 신규 OR 개선 기획안 구성하면서 와이어프레임을 통한 전체적인 기획안 작성하게 된다. 그러한 전체적인 기획을 완료가 된다면, 이것이 실효성이 있는지는 파악하고 실시하기 위한 회의를 통한 기획 검토 거치게 된다. 회의에서 기획의 구체성이 확정이 난다면, 해당 기획에 따른 상세 기획을 실시하게 된다. 이것이 전부가 아니지만, 보통 상세 기획 전에..

서비스 기획 산출물 2탄. Wireframe에 대하여

들어가기 전, 이전 글에서는 이전 시간에는 서비스 기획 산출물 1탄에서 다루었던 내용은 IA이다. IA를 간략하게 이야기하자면, 서비스 구조의 뼈대 가이드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들 말하는 wire frame 이란 무엇인가? Wireframe 와이어프레임 전체적인 윤곽을 그려내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기획을 하려면 꼭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앞서 말한 AI 같은 역할이다. 서비스의 윤곽이라는 말씀! 웹 페이지를 2차원으로 보여주면서, 페이지의 구조, 레이아웃, 플로우, 기능, 의도된 동작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어렵다면 다음 내용을 참고해 보자. 예시를 들어보겠다. 다음 서비스는 동물병원 검색 앱을 착안해 와이어 프레임을 만들어봤다. 멍멍 냥냥 아프지마 앱 서비..

서비스 기획 산출물 1탄. IA에 대하여 (feat.지그재그)

자자, 앞서 서비스 기획의 역량은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서비스 기획에서도 산출물이 나오기 마련이다. 프로젝트의 A~Z까지의 전 과정을 리딩 하는 사람으로서 산출물 관리 또한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그중에서 신입들에게 가장 먼저 하는 과정인 IA :Information Architecture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 되어보자. Information Architecture 주로 서비스 전체 아우트라인을 조망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구조도 전체적인 앱/웹 서비스의 윤곽을 모르게 되면, 서비스의 방향성, 그 안에 들어있는 세세한 구역들에 대한 개선의 방향성을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정보구조도는 꼭 필요한 산출물이다. 이게 무엇인가? 정말 많은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다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