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잘 지내셨나요? 오래간만에 연휴를 즐기러 오느라 글이 늦은 감이 있었습니다 ㅎㅎ
이번 케이스 스터디는 우리 실생활에 많이 잡혀 가지고 있는 공유 킥보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실제로 이용 후기 와 더불어 해당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이루어보자 했습니다.
우리나라 공유 킥보드 현황
따릉이를 첫 사업의 성공으로 그 발판을 딛고 공유 키보드 사업이 흥행하면서, 그에 대한 서비스가 증가하였다.
그에 따른 공유 키보드에 관한 실태조사와 사고들을 조사하는 결과, 사고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가장 많은 사고 중 차량과 충돌 하는것이 30% 이거 사람과 충돌하는 것이 20% 가 차지하면서 킥보드 이용 시 50%의 인재로 발생하여 사회적인 교통 규제도 받고 있는 교통수단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관리와 도로에 누워있는 경우가 많아 서비스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보행 이동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 따르는 대표적인 잔동 킥보드를 보면서 서비스를 어떤 방식으로 이용하는지 알아보자.
킥 고잉이란?
'올 룰로'에서 운영하는 국내 최초 공유 전동 킥보드 서비스이다.
2018년 9월 출시된 킥 고잉은 '발로 땅을 차서(KICK), 가속 레버를 눌러 이동(GOING)'하라는 뜻을 가지면서, 힘들이지 않고 계속 주행할 수 있다는 'Keep Going'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앱 로그인 → 회원가입 → qr코드 스캔 → 이동 → 반납 QR코드를 이용해 바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것에 주차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서비스 이용 요금
일반요금 | 심야요금 | |
신형기기 | 잠금해제 1,000원 분당 100원 | 잠금해제 1,500원분당 100원 |
구형기기 | 잠금해제 1,000원 분당 100원 | 잠금해제 1,500원 5분무료 /분당 100원 |
특징은 기기 반납 후 30분 이내 다시 대여하면 잠금 비용 없이 분당 금액만 내고 기기를 이용 가능하다.
✔️서비스 이용에 따르는 패스권 제공
정기 구독 형태인 패스권을 시간과 시간대에 따라서 길게 또는 정기적으로 결제가 가능 한 패스권이다.
한달 금액권 | 시간 패스권 | 심야패스권 |
10회 - 15,000원 10분 이용 | 1시간 - 3,500원 40분 무제한 | 21~05시 4,900원 (모든 이용 50%_할인) |
분당으로 시간을 매기지 않고 편안히 요금제를 내고 이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 환승 기능
✔️ 자전거 속도 줄이기 기능
킥보드나 자전거의 속도 줄이기 기능의 메뉴 → 설정 → 주행모드에서 변경할 수 있어 혹시 모르는 사고를 방지하고 시속은 25km, 18km로 제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 속도 제한에 따르는 이용에 대해서 많은 불편사항이 있어서 킥 고잉에서 설정 탭으로 가게 되면 그에 맞는 속도 변환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서비스 불편점 및 아쉬운 점
제기된 문제사항
✔️배터리 방전 문제
✔️ 주차 불가 지역 주민 피해
✔️ 법 규제 관련 인내 사항
✔️위치에 킥보드 및 자전거 없음
대부분 킥보드에 주차와 앱 서비스에 대한 불만사항이었다.
정차가 불가능한 지역에 대해 피해를 보는 주민들이 많았고 또한 법 규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불편함이 많았다.
이러한 점들은 모든 공유 킥보드에 대한 모든 앞서 말했던 이야기로 킥보드에 대한 인명사고 및 사고 피해에 대한 서비스 개선이다 킥보드 이용 시 법적 고지나 피해에 대한 인지 개선이 필요하다 , 또한 킥보드에 대한 충전방전에 대한 서비스 고객 관리도 중요한 부분이다.
PM의 관점으로 개선한다면
IF?
- 신입 기획자로써 가장 도입될 수 있는 부분
주행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고 사건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만큼 속도에 대한 안전 지킴이라는 이벤트나 상단 노출로 충분히 속도를 낮출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인지를 먼저 개선하고자 한다.
원래 좋은 기능을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기능의 유명무실일 테이고 그 기능에 대한 촉진을 이룬다면 보다 편안한 라이딩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 주차가 불가능한 지역에 관한 페널티
주차 불가능 지역에 주차를 한 사용자에게 과금을 넣어서 주차 문제에 대한 해결을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지 않을 까라는 방안을 제시하고 싶다. 어려운 문제 이겠지만, 서비스 개선 적인 면에서 주차로 생기는 문제점은 과금 정책으로라도 해결될 수 있지 않을 까?라는 생각을 한다.
<이미지 출처 >
킥 고잉 앱 서비스 발췌
그래프에 대한 내용은 사실이며, 저작권법에 따라 캡처가 아닌 사실을 기반한 재 그래프화 하였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킥보드 시장 관련 내용 발췌,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883
서울 킥보드 사고건수 발췌, 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195421
'나의기획일지 > Case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랜핏_Case Study (0) | 2022.10.09 |
---|---|
닥터나우_Case Study (0) | 2022.09.23 |
지니뮤직_Case_study (0) | 2022.09.16 |